늘봄 리박스쿨 논란 종합 정리: 초등교육 개입과 자손군 실체 분석
리박스쿨과 늘봄교실의 연결 구조
리박스쿨은 ‘한국늘봄교육연합회’ 명의로 서울교육대학교와 공식 협약을 체결하고, 자손군 조직원들을 ‘창의체험활동지도사’로 양성해 늘봄교실 강사로 초등학교 현장에 투입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정치적 메시지가 담긴 교육 콘텐츠가 사용된 정황이 뉴스타파 취재를 통해 확인됐으며, 학부모들의 불안과 분노를 불러일으켰습니다.
자손군: 온라인 여론조작 조직의 실체
자손군은 리박스쿨 내부의 여론조작 조직으로, 포털사이트 기사에 조직적으로 댓글을 작성하고 ‘좋아요’를 눌러 여론을 조작했습니다. 카카오톡 단체 채팅방을 통해 미션이 전달되며, 활동 보고와 출석 체크가 철저히 이루어졌습니다. 뉴스타파는 일부 자손군이 시민단체나 학부모 단체를 위장해 정치적 기자회견에도 참여한 사실을 보도했습니다.
교육부 및 사회 전반의 대응
논란 이후 교육부는 손효숙 리박스쿨 대표를 교육정책자문위원직에서 해촉하고, 전국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늘봄교실 프로그램에 대한 전수조사를 실시 중입니다. 서울시교육청은 관련 강사를 배제하고, 유사 사례 방지를 위한 제도 정비에 착수했습니다. 리박스쿨은 이후 자체 유튜브 콘텐츠를 대거 삭제하며 ‘증거 인멸’ 논란까지 불러일으켰습니다. 보도 보기
자주 묻는 질문
Q1. 리박스쿨이 늘봄교실에 어떻게 개입했나요?
A1. ‘한국늘봄교육연합회’ 명의로 서울교대와 협약을 맺고, 자손군 참여자를 ‘창의체험활동지도사’로 교육시켜 초등학교 늘봄교실에 투입했습니다.
Q2. 실제로 정치적 메시지가 수업에 사용됐나요?
A2. 뉴스타파 보도에 따르면, 일부 수업에서 보수 정치 성향의 콘텐츠가 사용됐으며, 정치 편향적 발언이 포함된 사례도 확인되었습니다.
Q3. 교육부는 어떤 조치를 취하고 있나요?
A3. 교육부는 전국 전수조사, 문제 강사 수업 배제, 대체 강사 투입, 민간 교육 단체 검증 강화 등을 통해 상황을 바로잡고 있습니다.
댓글
댓글 쓰기